본문 바로가기
영화 향기

임상수의 영화가 드디어 개봉하다! <돈의 맛> 아직 살아있네!

by 아프로뒷태 2012. 5. 18.

    오래전부터 당신의 매력을 보았다.

    당신은 인간의 이성과 본능 사이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을 영화를 통해 무한히 펼쳐 보여왔다.

    <눈물>, <처녀들의 저녁식사>, <그때 그 사람들>, <바람난 가족>, <오래된 정원> <하녀> 그리고

 

    <돈의 맛>

 

    노골적인 제목에 벌써부터 가슴 설렌다.

    당신의 영화가 지금의 한국사회에서 들끓는 수많은 욕망과 욕정을 세세하게, 진정성있게 드러내주길 바란다.

   

 

   포스터 부터 기똥차게 매력적이다.

 

 

 

임상수는 우리를 불편하게 만들어

 

 

임상수 영화는 사회학 드라마이다. 그것은 감독이 끊임없이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을 영화의 소재로 드러내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가출 청소년의 이야기<눈물>나 유교사회에서 억압받은 여성들이 성담론을 노골적으로 하는 이야기<처녀들의 저녁식사>, 가부장제와 가족의 해체를 다룬 이야기<바람난 가족>와 역사적 미스터리로 남은 고위공무원들의 대통령 살인 사건을 희화한 이야기<그때 그 사람들>, 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거머리처럼 성장한 계급 이야기<하녀>가 그러하다.

 

임상수 영화의 서사는 건조하다. 그리고 영화를 대하는 감독의 정서는 적극적이기보다 관조적이다. 임상수 영화는 관객을 불편하게 만든다. 임상수의 영화는 관객에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즉, 관객이 보고 싶어하는 것을 만들지 않는다. 오히려 관객을 불편하게 만든다. 한국사회의 문제점을 풍자, 희화화 하면서 그 문제에 관객이 공모되어 있고 사회문제에 대해 무관심해왔음을 지적한다.

 

 

 

 

 

 

   캐릭터 포스터가 살아있네!

 

 

 

<돈의 맛> 최상류층의 이면을 보여주리라 생각했지만

 

 

<바람난 가족>은 한국의 전형적인 가부장제와 가족의 해체를 보여줬다. 혈연으로 똘똘 뭉친 집단, 한국사회에서는 고질적으로 분리시킬 수 없는 집단인 가족이 개인주의로 해체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리하여 한국사회에서 가족이라는 이유로 빚어지는 연대감이나 정서 그리고 서로에 대한 책임의식을 부정한다. 그리하여 가족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무시하는 야만적인 제도임을 보여준다. 그동안 가족이라는 족쇄로 인해 서로가 서로에게 폭력과 강압적인 책임을 전가해왔음을 지적한다.

 

<그때 그 사람들>은 한국정치와 사회의 비리와 문제를 풍자적으로 보여준다. 대통령을 둘러싼 고위공무원들의 우둔하고 우발적인 해프닝이 그린 참사를 다룬다. 그리하여 한국정치의 문제점을 풍자, 희화화하고 비판한다. <하녀>는 계급제도가 사라진 사회라고 하지만 여전히 암암리에 돈에 의해 서로 얽히고 얽힌 계급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돈으로 맺어진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에서 상류계층을 향한 하녀의 욕망과 파멸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돈의 맛>은 최상류층의 욕망과 미성숙한 인간상과 자기 파멸을 보여준다.

 

 

 

 

 

<돈의 맛>에서 보여주는 최상류층의 욕망은 ‘새발의 피’

 

<돈의 맛>에는 최상류층의 다양한 욕망을 보여준다. 성에 대한 욕망, 돈에 대한 욕망, 권력에 대한 욕망, 음모, 살인, 탐욕, 위선과 비리를 보여준다. 다양한 욕망을 보여주지만, 임상수의 영화는 관객의 욕망을 충족시켜주지 않는다. 오히려 관객을 불편하게 만든다.

 

혹 이 영화를 통해 <돈의 맛>을 통해 욕망의 절정에 이른 인간군상을 보길 희망했다면 다소 미적미적한 부분이 있어 아쉬움이 남을 것이다. <돈의 맛>에서 보여준 욕망은 그리 충격적이지 않다. 임상수는 한국의 한 재벌을 모델로 그들 가족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재벌가족의 할아버지대에서부터 손자대까지 비리, 욕정, 청부살인, 위선, 탐욕을 드러내는데, 이것은 다소 진부한 면이 없지 않아 있다.

 

한국 사회는 환상의 오르가즘이 절정에 이른 나라이다.

 

오히려 최상류층의 돈에 대한 욕망이 어디까지 갔는지 알기에는 매일 보도되는 신문이나 인터넷이 적합할 것이다. 한국사회에 많은 재벌 괴물이 살고 있다. 한국 사회는 환상의 오르가즘이 절정에 이른 나라이다. 매일 보도되는 신문이나 인터넷에서 현실이 영화보다 더 참혹하고 잔인하며 얼마나 많은 이들이 욕망으로 들끓으며 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래서 <돈의 맛>에서 보여주는 최상류층의 욕망은 현실에 비하면 ‘새발의 피’ 라는 생각이 든다.

 

 

 

 

 

 

대한민국의 백씨 집안의 안주인 백금옥(윤여정)은 주영작(김강우)의 말처럼 “강하다. 정말 강하다” 백금옥은 재벌 그룹의 안주인처럼 보이지만 실상 남편 윤회장을 쥐고 흔드는 실세이고 가족의 권력이자 중심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사회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권력의 상위에 있었고 중심이었지만 가부장제는 점점 무너지고 있는지라 재벌 그룹역시 아버지가 가장이기보다는 어머니가 가족의 중심이 되고 가장이 된다. 오히려 아버지(윤회장)는 가장의 자리에서 떠나길 원하며 돈과 권력, 탐욕에 눈먼 어머니(백금옥)의 곁을 떠나고 싶어한다. 윤회장이 금옥과 결혼한 것도 돈 때문이지 사랑은 아니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돈이 갖는 부패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돈은 사랑도 짓밟고 올라설 수 있게 만든다. 하지만 그것은 결코 오래 가지 못한다. 몇 십년동안 회장직을 맡으며 돈을 써왔지만 삶의 만족을 주지 않는다. 윤회장은 “돈, 펑펑 원 없이 썼지. 그런데 그게 모욕적이더라고. 모욕. 모욕” 적이라고 자성한다. 영화내내 윤회장의 입에 모욕이라는 단어가 계속 맴돈다. 돈은 인간을 모욕적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돈은 권력을 만들어 인간을 기세등등하게 만들었다가도 모욕을 준다.

 

인류의 역사상, 권력은 곧 사유재산제도와 동시에 발생했다. 사유재산의 개념이 생기면서 계층이 구분되고 권력이 나누어졌다. 돈이 곧 권력이 된 시대. 돈을 펑펑 쓰면 자신이 무슨 권력이라도 얻은 것 마냥 어깨에 힘을 주는 재벌들이 많다. 그들은 돈이 곧 권력임을 보여주지만 실상 성공한 인생은 되지 못한다. 이것은 비단 재벌에게만 연관된 이야기가 아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들과 연관된 이야기이다. 자본주의는 자유경쟁과 노력에 대한 댓가를 공정하게 주는 것 같지만 그 이면에는 돈을 둘러싼 비리와 권력으로 곪아 있다. 백금옥이 그러하며 금옥의 피를 그대로 물려받은 비리와 탐욕의 재왕, 돈 앞에서는 가족도 못지 못하는 윤철이 그러하다.

 

 

 

 

비단 백금옥과 윤철에서 그치지 않는다. 소위 한국사회에서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이면 엘리트라 불리는 인물이 하는 일이라곤 돈가방 나르는 심부름꾼이다. 한국의 엘리트(주영작)도 돈 앞에서는 노예가 된다. 그동안 한국에서 서울대출신 하면 무슨 특권이나 얻은 듯 권위의식을 누렸다. 쥐뿔, 아무것도 없으면서 머리 좋다는 것이. 사람을 위해 머리를 쓰는 것이 아니라, 돈을 위해 머리를 쓰고 있음을 영화는 희화화하고 있다.

 

 

부정과 부패로 물든 한국 재벌 그룹의 돈냄새를 맡고 달려드는 외국자본이 있다. 외국자본의 대표적 상징으로 윤철의 친구 로버트가 등장한다. 로버트를 연기한 배우는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외 영화비평가 달시파켓이다. 그의 로버트 역 연기는 매우 파격적이다. 단순 까메오 연기가 아니라, 꽤 수준급이다. 돈의 비리가 넘치는 나라, 그럼에도 잘 굴러가는 나라, 한국에 대해 로버트는 “한국사회 재밌어. 환상적인 나라야” 라고 정의한다.

 

 

최근까지 한국에 투자를 하고 수익을 얻은 뒤, 떠난 외국자본이 있었다. 일명 먹튀인 외국인들이 그동안 생각해온 한국이란 “환상의 나라”가 분명하다. 한국의 재벌그룹과 짜고 위장하여 유령회사를 세우고 한국자본을 외국으로 빼돌리며, 환락 속에서 쓰리섬을 즐기고 동업자 앞에서는 웃지만 뒤에서는 “멍청이”라고 부르며 뒤통수를 치는 외국투자자들은 환상의 나라, 한국사회에서 쾌락을 맛본 뒤 아무렇지 않게 자신의 나라로 돌아간다. 한국은 일회성을 지닌 놀이터일뿐.

 

 

 

 

 

과연 재벌들은 나미처럼 자신을 돌아볼 줄 알까?

 

최상류층에 소속되어 있으면서도 그들과 격리된 느낌을 주는 순수한 인물이 있다. 최상류층의 삶을 즐기면서도 최상류층의 삶을 관찰하고 비평하는 인물, 바로 나미이다. <돈의 맛>에 서 나미는 <하녀>의 어린 나미가 성장한 나미이다. 그것은 <돈의 맛>의 나미가 백금옥에게 “나 어렸을 때, 내 앞에서 분신자살한 하녀 있잖아.”라고 말하며 과거를 기억하는 데서 알 수 있는데, 나미의 과거는 <하녀>의 나미와 일치한다. 나미의 질문에 대뜸 “그게 기억나냐”고 묻는 그 하녀가 미쳐서 그런 것이라며 잊으라 한다. 하지만 백금옥(윤여정)의 말에 나미(김효진)는 “우리 정말 그 사람들한테 그러면 안 돼” 라고 넌지시 일침을 가한다.

 

이 영화에서 나미는 스스로 반성할 줄 아는 인물이다. 또한 가족에게 옳지 못한 것에 대해 일침을 가하는 인물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나미의 역할을 통해 임상수 영화에서 그동안 찾아보지 못한 점이 드러난다. 관객에게 설명하지 않고 불친절한 임상수의 영화가 나미의 입을 통해 관객에게 메시지를 설명하고 있다. 어쩌면 나미는 한국사회의 최상류층에 대한 감독의 바람을 담은 인물이 아닌가 싶다. 재벌이 돈의 탐욕에 물들어 자성하지 못할 때, 그 다음 세대만은 자성해야 한다고. 제대로 삶을 바라보는 자가 나타나야 한다고. 감독은 말하고 싶어하지 않았나?

 

 

나미 역할을 보며 그런 생각이 들었다. 과연 최상류계층의 사람들 중에서 나미처럼 자성하는 인물이 몇이나 될까 의문이 갔다.

 

부디 나미같은 사람이 존재하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