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향기

오슬로의 이상한 밤 -북유럽의 독특한 정서와 분위기, 노르웨이 영화!

by 아프로뒷태 2011. 1. 24.

 

 

북유럽의 독특한 정서와 분위기,

희귀성 강한 노르웨이의 영화

 

오슬로의 이상한 밤

O’HORTEN

 

 

2011년 2월 10일(목) 개봉하는 <오슬로의 이상한 밤>(원제:O’HORTEN) 은 신비하고도 먼 이상향의 나라 노르웨이의 진풍경을 담은 희소성 강한 영화로 칸 국제영화제를 비롯해서 토론토국제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광주국제영화제(개막작) 등 전 세계 유수의 영화제에 초청되어 평론가들과 관객들로부터 찬사를 받으며 화제가 된 작품입니다.

 

 

희소성 강한 북유럽 영화의 매력 !

추운 나라에서 전하는 따뜻한 인생예찬 ! 하트.워밍.무비 !

 

 

세계지도에서도 가장 북쪽에 위치해 있는 노르웨이는 북유럽 가운데에서도 가장 관광객이 많이 찾는 대표적인 국가입니다. 여행자들이 노르웨이에서 꼭 한번 타게 되는 이동수단은 오슬로-베르겐 행 기차로, 주인공 ‘오드 호텐’이 바로 그 기차를 운행하는 기관사입니다.

 

 

 

<오슬로의 이상한 밤>은 오드 호텐이 40년간 매일 같은 시간, 같은 노선만 운행해오다 은퇴와 동시에 이상한 일들을 겪으면서 자신의 새로운 인생을 찾게 되는 노년의 인생예찬을 다룬 영화입니다.

 

 

전 세계 유수의 영화제 초청을 받으며 평단의 극찬과 함께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오슬로의 이상한 밤>은 미지의 나라에 대한 설렘.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이 있는 사색, 추운 나라의 독특한 유머와 따뜻한 희망을 주는 이야기입니다.

 

 

REVIEW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단골 캐릭터인 무표정하고 외로운 남자가 짐 자무시의 우화 속으로 들어가서 ‘지상에서의 하룻밤’을 보낸다 - 팝워치 블로그

거리감과 친근함을 동시에 성취하는 高담백 코미디 - 로저 에버트 「시카고 선 타임즈」

아키 카우리스마키 식의 무표정하면서도 사색적인 북유럽 코미디 - 스콧 파운다스 「빌리지 보이스」

엄격하면서도 유쾌한 북유럽 코미디. ‘바드 오베’는 ‘버스터 키튼’처럼 완벽했다 - 알리사 사이먼 「버라이어티」

오슬로의 겨울 거리를 꿈꾸듯 헤매는 한 남자의 매혹적인 초상화 - 듀안 버지 「헐리우드 리포터」

“매 순간 허를 찌르는 ‘무표정 코미디’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 리사 슈발츠봄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놀랍다... 소박하지만 번뜩이는 재치와 맛깔 나는 재미.” - 케네스 투랜 「LA 타임즈」

 

 

SYNOPSYS

"마지막 기차를 운행한 후에 오슬로로 날아갈 거예요.“ 40년 동안 매일 같이 오슬로 - 베르겐 구간의 기차를 운행해 온 기관사, 오드 호텐. 이제 그는 정년이 되어 영원할 것만 같았던 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그런데 은퇴하기 하루 전, 그는 은퇴파티에서부터 우스꽝스런 사건들을 겪게 된다. 결국 그는 마지막 기차운행 시간을 놓치고 마는데...

놓쳐버린 마지막 기차, 그리고 기이한 밤으로의 탈선... 낙심한 그의 속도 모르고 은퇴파티에서 시작된 탈선은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그를 기이한 밤의 미로로 내모는데...

과연 오드 호텐은 과거의 단순하고 틀에 박힌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의 궤도에 안착할 수 있을까?

 

INFORMATION

제 목 : 오슬로의 이상한 밤

원 제 : O'HORTEN

제작국가 : 노르웨이

감 독 : 벤트 하머

주 연 : 바드 오베, 기타 뇌르비, 에스펀 스콘버그, 헨리 모안

러닝타임 : 90분

장 르 : 휴먼드라마, 블랙코미디

수입/배급 : 이미지팩토리

개 봉 : 2011년 2월 10일

등 급 : 15세 관람가

 

 

여기서 잠깐!

아키 카우리스마키 감독을 그냥 넘어갈 수 없겠지요.

영화 마니아 라면 아키 카우리스마키 감독의 영화 한편 쯤은 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그의 필모그래피를 한 번 살펴 보겠습니다.

 

FILMOGRAPHY
배우
1. 나는 살인청부업자를 고용했다 (I Hired a Contract Killer, 2000)… 선글라스 파는 남자 역
2.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모세를 만나다 (Leningrad Cowboys Meet Moses, 1994)… 공장 노동자 역
3. 천국의 그림자 (Varjoja paratiisissa, 1986)… 호텔 리셉셔니스트 역
감독
1. 그들 각자의 영화관 (Chacun son cinéma, 2007)
2. 황혼의 빛 (Laitakaupungin valot, 2006)
3. 비전스 오브 유럽 (Visions of Europe, 2004)
4. 텐 미니츠 트럼펫 (Ten Minutes Older: The Trumpet, 2002)
5. 과거가 없는 남자 (Mies vailla menneisyyttä, 2002)
6. 나는 살인청부업자를 고용했다 (I Hired a Contract Killer, 2000)
7. 유하 (1999)
8. 어둠은 걷히고 (Kauas pilvet karkaavat, 1996)
9.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모세를 만나다 (Leningrad Cowboys Meet Moses, 1994)
10. 타티아나, 당신의 스카프를 조심하세요 (Pidä huivista kiinni, Tatjana, 1994)
11. 보헤미안의 삶 (La Vie de bohème, 1992)
12. 성냥공장 소녀 (Tulitikkutehtaan Tyttö, 1989)
13.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 (Leningrad Cowboys Go America, 1989)
14. 아리엘 (Ariel, 1988)
15. 햄릿, 장사를 떠나다 (Hamlet liikemaailmassa, 1987)
16. 록키 6 (Rocky VI, 1986)
17. 천국의 그림자 (Varjoja paratiisissa, 1986)
18. 죄와 벌 (Rikos ja rangaistus, 1983)
제작
1. 황혼의 빛 (Laitakaupungin valot, 2006)
2. 비전스 오브 유럽 (Visions of Europe, 2004)
3. 과거가 없는 남자 (Mies vailla menneisyyttä, 2002)
4. 텐 미니츠 트럼펫 (Ten Minutes Older: The Trumpet, 2002)
5. 나는 살인청부업자를 고용했다 (I Hired a Contract Killer, 2000)
6. 어둠은 걷히고 (Kauas pilvet karkaavat, 1996)
7.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모세를 만나다 (Leningrad Cowboys Meet Moses, 1994)
8. 보헤미안의 삶 (La Vie de bohème, 1992)
9.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 (Leningrad Cowboys Go America, 1989)
10. 성냥공장 소녀 (Tulitikkutehtaan Tyttö, 1989)
11. 아리엘 (Ariel, 1988)
12. 햄릿, 장사를 떠나다 (Hamlet liikemaailmassa, 1987)
13. 록키 6 (Rocky VI, 1986)
각본
1. 황혼의 빛 (Laitakaupungin valot, 2006)
2. 비전스 오브 유럽 (Visions of Europe, 2004)
3. 텐 미니츠 트럼펫 (Ten Minutes Older: The Trumpet, 2002)
4. 과거가 없는 남자 (Mies vailla menneisyyttä, 2002)
5. 나는 살인청부업자를 고용했다 (I Hired a Contract Killer, 2000)
6. 유하 (1999)
7. 어둠은 걷히고 (Kauas pilvet karkaavat, 1996)
8.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모세를 만나다 (Leningrad Cowboys Meet Moses, 1994)
9. 타티아나, 당신의 스카프를 조심하세요 (Pidä huivista kiinni, Tatjana, 1994)
10. 보헤미안의 삶 (La Vie de bohème, 1992)
11. 성냥공장 소녀 (Tulitikkutehtaan Tyttö, 1989)
12.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 (Leningrad Cowboys Go America, 1989)
13. 아리엘 (Ariel, 1988)
14. 햄릿, 장사를 떠나다 (Hamlet liikemaailmassa, 1987)
15. 록키 6 (Rocky VI, 1986)
16. 천국의 그림자 (Varjoja paratiisissa, 1986)
17. 죄와 벌 (Rikos ja rangaistus, 1983)
편집
1. 황혼의 빛 (Laitakaupungin valot, 2006)
2. 나는 살인청부업자를 고용했다 (I Hired a Contract Killer, 2000)
3. 어둠은 걷히고 (Kauas pilvet karkaavat, 1996)
4.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모세를 만나다 (Leningrad Cowboys Meet Moses, 1994)
5. 성냥공장 소녀 (Tulitikkutehtaan Tyttö, 1989)
 수상경력
BIOGRAPHY
아키 카우리스마키는 핀란드의 영화감독이자 전세계 예술영화관에서 가장 인기있는 컬트 감독이다. 카우리스마키의 영화는 지금까지 한번도 미국 메이저 영화사를 통해 배급된 적이 없다. 그런데도 카우리스마키의 영화는 뉴욕 맨해튼, 파리, 베를린 영시네마 포름 등에서 거의 ‘숭배’ 차원으로 열광하는 관객들을 만난다. <오징어 노동조합 Calamari Union>(1985),<햄릿, 장사를 떠나다 Hamlet Goes Busi-ness>(1987),<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 Leningrad Cowboys Go America> (1989)와 같은 기상천외한 제목을 단 그의 영화들은 예상을 불허하는 블랙유머의 뇌관을 감추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정작 카우리스마키는 자신의 영화에 대한 대중의 반응에 심드렁하다. 88년 토론토영화제에서 <오징어 노동조합>이 상영됐을 때 관객과의 토론에 참석한 카우리스마키는 이렇게 말했다. “이 영화는 내가 지금까지 본 영화 중에 최악이에요. 왜 자리를 뜨지 않지요? 당신들은 마조히스트인가요?”

1957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태어난 카우리스마키는 형 미카가 설립한 빌레알파영화사에서 첫 장편영화 <죄와 벌 Crime and Punish-ment>(1982)을 발표한 이래 비교적 다작한 편이다. 거의 해마다 한편 이상의 영화를 만들었다. <햄릿, 장사를 떠나다>는 덴마크를 떠나 헬싱키로 장사를 떠난 햄릿이 사기꾼에게 속고, 강도에게 털리고 설상가상으로 부친이 남긴 회사를 숙부에게 빼앗길 뻔하는 위기에 처한다는 내용으로, 고전비극 <햄릿>의 배경을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복판으로 옮긴 블랙코미디인데,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는 햄릿의 고뇌는 ‘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로 바뀐다.

<죄와 벌>,<햄릿, 장사를 떠나다>가 고전문학을 현대적으로 각색한 영화라면, <천국의 그림자 Shadow in Paradise>(1986),<아리엘 Ariel>(1988),<성냥공장 소녀 The Match Factory Girl>(1990)는 평단에서 ‘프롤레타리아 삼부작’이란 평가를 듣는 영화다. 계급적 위치면에서 사회에 발붙이지 못하고 방황하는 사람들이 이 삼부작의 공통된 주제다. <천국의 그림자>는 슈퍼마켓에서 일하는 소녀와 중년의 남자가 사랑에 빠지고 외국을 동경하다가 결국은 에스토니아행 배를 탄다는 줄거리인데, 두사람은 배를 타고 나서도 자기들이 왜 망명을 결정했는지 모른다. <아리엘> 역시 비슷한 내용이다. 카스리넨은 광산이 문을 닫으면서 무작정 길을 떠났다가 미혼모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두사람은 우연히 살인사건에 휘말리며 남미로 가는 밀항선 ‘아리엘’을 타고 탈출하는 신세가 된다.

카우리스마키의 이런 국외자적 강박감이 가장 잘 녹아들어가 있는 작품이 <성냥공장 소녀>다. 무성영화처럼 대사가 거의 없는 이 영화는 작은 성냥공장에서 일하는 아이리스가 지긋지긋하고 전망이 없는 삶을 살다가 못된 세상에 복수하기로 결심하고는 쥐약을 넣어 주위사람들을 몰살한다는 이야기이다. 불행에 빠진 소녀가 운명을 극복한다는 동화적인 설정을 잔인하게 비튼 이 영화는 엄격한 무기교의 기교스타일을 통해 섬뜩한 감동을 전해준다.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는 <성냥공장 소녀>와는 달리 희극적 감성이 녹아 있는 블랙코미디로 북구의 민속음악을 연주하는 핀란드 촌놈들이 미국을 여행하면서 겪는 해프닝을 담았다. 전형적인 로드무비지만 미국이 아무것도 생산할 수 없는 불모의 땅임을 영화 속 황량한 풍경을 통해 자질구레한 설명없이 묘사한다. 60년대 유럽영화의 상투적인 스타일과 다른 것은 로드무비의 쓸쓸한 풍경에 슬랩스틱 코미디와 개그를 덧칠해 넣는 카우리스마키의 유머감각 때문이다.

카우리스마키 영화의 뿌리는 광범위하게 걸쳐 있다. 고다르 영화의 60년대식 사랑과 무정부주의에 대한 향수, 새뮤얼 풀러와 로버트 올드리치류의 할리우드 고전영화에 대한 애착,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소설의 달콤한 냉소주의 등이 카우리스마키의 영화 화면에 배어 있다. 그러나 카우리스마키 영화의 진정한 실체는 핀란드와 헝가리의 보헤미안 전통일 것이라고 영국의 평론가 피터 코위는 말한다. 이것은 자살할 용기가 없어서 살인청부업자를 고용했다가 낭패를 보는 <나는 살인청부업자를 고용했다 I Hired a Contract Killer>(1990)나 돈이 없어 밥을 못먹어도 돈을 빌려서라도 술잔치를 벌이며 호기있게 인생을 사는 예술가들의 삶을 그린 <보헤미안의 삶 La Vie de Boheme>(1992)과 같은 영화를 관통하는 정신이다. 카우리스마키는 세상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 사람들의 슬픔과 절망을 코미디로, 가끔은 비극으로 그려낸다. 이 괴짜 핀란드 감독의 좌충우돌하는 유머는 보헤미안 정신의 영화적 형상화라 할 것이다. [씨네21 영화감독사전]

 

제가 감독의 작품을 본격적으로 보기 시작한 것은 <황혼의 빛> 때문입니다.

지금은 사라진 씨네코아 극장을 아시는지요?

종로 3가에 있었지요.

씨네코아가 사라지고 스펀지에서 운영하는 극장이 되었지만요.

영화를 무척 좋아했던 아니 솔직히 말하자면 영화가 친구였던 시절이었어요.

혼자 영화를 보고, 책을 읽고 창작을 즐겼던 시절이었으니깐요.

평일 오전 제가 찾은 극장은 종로의 씨네코아였습니다.

당시 관객이 다섯명이었던 걸로 기억납니다.

몇 백명이 들어갈 수 있는 큰 극장안에서 다섯 명이 영화를 보면서 개인적으로 씁쓸하기 보다 즐거웠습니다.

개인 전용 극장을 얻은 듯 했거든요.

물론 극장주는 재정에 타격을 입겠지만요.

 

그때 본 <황혼의 빛>,

상영관을 나와서 한참 동안 얼빠진 사람처럼 멍한 얼굴로 길을 걷었습니다.

당시 이 영화를 보고 김지미 평론가는 아래와 같이 생각했는데......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스크랩 해 봅니다.

 

말없이 전달되는 인생의 고독과 비애, 그리고 희미하지만 꺼지지 않을 희망의 빛

 

영화관은 만원도 안 되는 돈으로 가보지 못한 세상에 데려다주고, 현실에서는 해볼 수 없는 감정과 사건을 체험하게 해주는,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예술적 경험을 즐길 수 문화적 공간이다. 그런데 영화는 소비되는 지점에서는 서민과 가장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되는 수준에서는 가장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하면 영화는 소비의 측면에서는 복제 예술이라는 점 때문에 가장 많은 대중과 만날 수 있는 통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생산의 측면에서는 일단 제작되는 과정에서는 상당한 비용이 투자되어야 하고 더 많은 대중과 만나기 위해 실제에서 불가능한 꿈 혹은 달콤한 환상을 제공해야 하기에 대중의 현실과 멀리 떨어진 곳을 스크린 위에 담는다. 그래서 현실에 밀착된 우리의 삶을 담아내려는 감독들을 만나게 되면 오히려 반가운 마음이 들 지경이다. <황혼의 빛>의 아키 카우리스마키도 그런 감독의 명단에 빠져서는 안 될 이름이다.

켄 로치가 하층민의 삶을 사회운동 차원에서 전투적으로 다룬다면, 아키 카우리스마키는 그것을 최대한 감정을 배제하고 관조적으로 담아낸다. 그래서 켄 로치의 영화는 다소 직설적으로 관객에게 어떤 태도를 요구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반면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영화를 보다보면 주인공의 삶이 직면한 절박함에 시나브로 물들어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떠도는 구름> <과거가 없는 남자>에 이어 ‘빈민 3부작’의 마지막 편인 <황혼의 빛>에서도 동일한 정서적 체험을 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대도시의 야간 경비원인 코이스티넨(얀 히티아이넨)이다. 그는 직장에서 상사나 동료에게 존재를 인정받지 못하고 허름한 집에서 외롭게 살아가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들른 카페에서 금발의 여인 미리야(마리아 예르벤헬미)가 그에게 호감을 보이며 다가오고 꿈같은 데이트가 시작된다. 하지만 행복한 순간도 잠시, 미리야의 배후에는 코이스티넨이 경비를 도는 백화점 보석상을 노리는 범죄조직이 있었고, 그녀는 코이스티넨에게서 경보장치의 비밀번호와 열쇠를 훔쳐내 조직에 알려준다. 사랑의 단꿈에 빠져 있던 코이스티넨은 자신이 저지르지 않은 절도사건의 범인으로 지목되어 옥살이까지 하게 된다.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빈민 3부작’은 공통적으로 상실의 과정을 다룬다. 세 작품 모두 서사적 시간의 진행과 더불어 주인공은 무언가를 잃는다. <떠도는 구름>에서 주인공 부부는 평범한 직장과 소박한 가정이 있었지만, 실직으로 인해 경제적 위기에 처하고 가정까지 붕괴될 위험을 맞이한다. <과거가 없는 남자>의 주인공는 영화 초반에 모든 기억을 잃는다. <황혼의 빛>에서 코이스티넨도 (애초에 거짓된 것이기는 했지만) 사랑은 물론 직장과 집 그리고 전 재산까지 잃게 된다. 세편의 영화에서 주인공들은 자신이 잃어버린 것들을 다시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원래 가진 것도 별로 없는 서민이 자신의 모든 것을 부당하게 잃고 빈민화되는 과정은 신파적으로 소화될 요소를 충분히 갖추고 있지만 감독은 관객이 눈물을 흘리며 그들의 삶에 동정할 여지를 남겨두지 않는다. 주인공들은 눈물 한번 흘리는 법 없고, 절규 한번 하지 않는다. 그들에게는 그러한 사건들이 삶의 드라마틱한 순간이 아니라 끊임없이 버텨내야하는 오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삶에 투정부릴 정도로 유아적이지도 않고, 울며 나뒹굴 감정적, 시간적 여유도 별로 없다.

스스로를 ‘마음 따듯한 아저씨’라고 평하는 감독 아키 카우리스마키는 무언가를 계속 잃고 끊임없는 좌절을 경험해야 하는 주인공들에게 ‘희망’이라는 출구까지 닫아두지는 않는다. <떠도는 구름>의 부부는 실직한 뒤 번번이 취업에 실패하거나 어렵사리 구한 직장에서 월급을 떼어먹히기도 한다. 하지만 그들은 꼼꼼하게 작성한 창업계획서가 자본문제로 폐기처분되기 직전 기적처럼 옛 직장 상사의 도움을 받아 ‘노동’(Work)이라는 레스토랑을 내게 된다. <과거가 없는 남자>의 남자는 기억과 함께 자신의 인생이 송두리째 사라져버렸지만, 바닥부터 시작한 새로운 인생에서 사랑을 만난다. 점차 그에게 과거가 돌아오지만 그는 이미 흘러가버린 과거에 연연하지 않고 현재에서 인생의 답을 찾는다. <황혼의 빛>의 주인공 코이스티넨이 우울한 현실을 극복하는 방법은 꿈을 꾸는 것이다. 그는 직원들의 따돌림과 상사의 무시를 경험할 때마다 경비업체의 사장이 될 자신의 미래를 꿈꾼다. 금발 여인에게 농락당한 뒤 자신의 꿈을 지탱해줄 씨앗마저도 남아 있지 않게 되었을 때, 코이스티넨은 유일한 말동무이자 감옥에 간 그를 기다려준 아이라(마리아 헤이스카넨)에게 ‘살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관객이 그럴 만도 하다고 고개를 주억거릴 즈음, 그는 웃으며 농담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새로운 희망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때 아이라가 던지는 한마디. ‘희망을 안 잃었다니 다행이네.’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주인공들을 강하게 만드는 것, 그것은 물리적인 힘이 아니라 마음속에서 자꾸만 솟아나오는 희망이다. 그것이 <황혼의 빛>의 마지막 장면에서 다소 모호하게 처리된 코이스티넨의 생사에 대해 눈으로 본 것보다 ‘여기서는 안 죽어’라는 그의 말을 믿고 싶게 만드는 이유이기도 하다.

자크 오몽은 인간이라는 존재를 재현하는 집약체로 ‘얼굴’을 이야기한다. 얼굴은 자기 자신의 진실을 감추고 있는 가면인 동시에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타자를 바라보는 장소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영화에는 아무런 대사나 음악도 없이 인물의 얼굴을 정면으로 잡는 클로즈업이 많이 등장한다. <황혼의 빛>에서도 예외가 아닌데, 우리는 고독하게 살아가는 코이스티넨의 무표정한 얼굴을 수시로 마주해야만 한다. 아무리 억울한 상황에서도 변명 한마디없이, 부당한 현실을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이 견뎌내는 삶의 태도가 그의 담담한 얼굴표정을 통해 끊임없이 상기된다. 감독은 구구절절한 설명이나 설득의 과정을 생략하지만 화면을 가득 메운 얼굴은 관객에게 인물의 영혼과 바로 접속하게 만들고 동시에 그러한 삶의 논리가 지배하는 하나의 우주를 만나게 된다. 이 영화는 코이스티넨뿐 아니라 미리야의 얼굴에도 많은 시간을 허용하는데, 그것은 남자를 수렁으로 몰아넣는 일종의 팜므파탈인 그녀를 일방적으로 비난할 수 없게 만드는 이유가 된다. 무엇인가 할 말이 있는 듯한, 뭔가 끊임없이 망설이고 주저하는 듯한 그녀의 얼굴은 그녀의 악행 뒤에 숨겨진 사연을 암시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시각적으로 운동이 정지되거나 청각적으로 음이 소거된 상태를 견디지 못하는, 템포 빠른 영화에 익숙한 관객에게 인물의 얼굴만 멀뚱멀뚱 들여다보라는 감독의 요구가 때때로 낯설게 느껴지겠지만 <황혼의 빛>은 말없는 얼굴이 쏟아지는 대사보다 더 많은 이야기와 감정을 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글 : 김지미 (영화평론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