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


1897.5.12 14세 연상의 여인 루 살로메를 '운명적으로'만나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 아련한 향수, 그리움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이 이름은 그야말로 시인의 대명사다. 세계인에게 가장 많은 애송시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구슬 굴러가는 것 같은 유성음으로 이루어진 이름만으로도 릴케는 시인답다. 릴케를 불멸의 시인으로 키운 것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루 안드레아스 살로메와의 만남은 그중 각별한 것이었다. | |
1897년 5월 12일, 뮌헨의 소설가 야콥 바서만의 집에서 열린 다과 모임에서였다. 젊은 시인 르네 마리아 릴케(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아명)는 당대 멋진 여성의 대명사였던 루 안드레아스 살로메를 만나자마자 사랑의 거센 폭풍에 휘말려 들어갔다. 열네 살이나 연상이었지만, 아니 그러기 때문에 그녀는 릴케가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포근하면서도 따뜻한 모성의 여인이었다. 시원하면서도 강렬하고 자유분방한 정신세계는 또한 릴케의 젊은 열정과 만나 불꽃을 튀기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만나자마자 릴케의 가슴은 루 살로메에 대한 그리움으로 잠시도 쉴 시간이 없었다. | |
운명의 여인 루 살로메를 만나 이룩한 정신적 도약

릴케에게 루 살로메(이하 릴케가 그렇게 불렀듯이 ‘루’라고 쓴다)가 각별했던 것은 그가 한 해 전에 읽은 그녀의 에세이 덕분이기도 했다. 루의 에세이 <유대인 예수>를 읽고 깊은 인상을 받은 릴케는 익명으로 그녀에게 몇 편의 시를 우송하기도 했다. 이제 그녀를 실제로 만난 릴케는 “친애하는 부인, 당신과 내가 보낸 어제의 그 황혼의 시간은 처음이 아니었습니다”라는 말로 시작되는 짧지만 달콤한 편지를 썼다. 작가들이란 자신의 작품에 대해 애정을 표시하는 고급 독자를 쉬 뿌리치지 못하는 법. 그녀의 에세이와 함께 했던 각별한 시간을 추억하는 젊은 시인에게 루도 끌리지 않을 수 없었다. 릴케는 “(당신의 에세이를 읽던) 그 황혼의 시간에 나는 당신과 단 둘이서만 있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두 사람 사이는 급진전되어 금세 연인 사이가 된다.
단순한 애정관계로 시작했지만, 릴케에게 루는 육체적인 관계를 넘어서는 정신적인 반려였다. 그녀는 릴케에게 어머니로부터 받지 못한 모성적인 사랑의 제공자였고, 외부 세계와 접촉하는 데 미숙한 시인에게 현실적인 길을 안내하는 정신적 후원자였다. 두 사람은 함께 공부하고 몇 차례에 걸쳐 여행을 떠나면서 정신적으로 더욱 가까워졌다. 루는 릴케에게 프리드리히 니체(니체가 루에게 청혼한 적이 있다)의 사상을 알려주었으며, 러시아 문학을 소개했다. | |
|

1900년 경의 루 안드레아스 살로메 | |
그녀를 만난 후 릴케에게 두 가지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다. 첫째, 새로운 이름을 쓰게 되었으며, 둘째, 그의 서체가 변했다. 1897년 빈의 한 잡지에 릴케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라는 이름을 쓰게 되는데, 바로 루의 제안에 따른 것이었다. 이후 릴케는 줄곧 이 이름을 쓰게 된다. 그 동안 릴케는 상업세계에서 주로 쓰이는 비스듬히 종이를 스치는 듯한 필체를 썼는데, 루를 만난 후에는 우아하고 유연한 루의 필체와 비슷하게 바뀌었다. 릴케의 시 세계도 더욱 원숙해져, 그는 이 무렵 초기시의 미성숙한 단계를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내 눈빛을 꺼주소서, 그래도 나는 당신을 볼 수 있습니다, 내 귀를 막아주소서, 그래도 나는 당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발이 없어도 당신에게 갈 수 있고, 입이 없어도 당신의 이름을 부를 수 있습니다. 내 팔을 부러뜨려주소서, 나는 손으로 하듯 내 가슴으로 당신을 끌어안을 것입니다, 내 심장을 막아주소서, 그러면 나의 뇌가 고동칠 것입니다, 내 뇌에 불을 지르면, 나는 당신을 피에 실어 나르겠습니다.
- 루 살로메에게 헌정한 <기도시집>의 제2부에서(김재혁 역) | |
칠삭둥이로 태어나 여자옷 입고 자란 유년, 군사학교에서의 참담한 청소년 시절

어린 시절의 릴케는 불우하다거나 가난하다는 것과는 다른 종류의 결핍을 경험해야 했다. 칠삭둥이로 태어났다는 것부터가 결핍이라면 결핍이었다. 릴케는 1875년 12월 4일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 아래 있던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요제프 릴케는 장교로서 입신을 꿈꾸었으나 실패하고 제대하여 하급관리가 되었다. 허영심 강한 어머니 피아 릴케는 남편의 출세길이 가로막히자 결혼생활에 만족할 수 없었다. 화목하지 못한 가정에서 릴케는 불안한 나날을 보내야 했다. 더욱이 어머니는 자신이 결혼하여 처음으로 낳은 딸에게 지나치게 집착하고 있었다. 불행하게도 그 딸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죽었다. 죽은 딸을 잊지 못한 어머니는 릴케를 여자아이처럼 키웠다. 릴케는 일곱 살 때까지 여자옷을 입고 자라야 했다. 여덟 살 때 부모가 이혼하자 릴케는 따뜻하지 않은 어머니 품에서 자라게 된다.
어머니의 양육은 섬약한 시인의 감수성을 타고난 릴케에게는 고통 그 자체였다. 1886년 릴케는 장크트푈텐 육군 유년학교에 입학했다. 감수성 예민한 소년에게 어린 시절부터 군사교육이라니, 릴케 스스로 가장 참담한 시기였다고 말할 정도로 군사교육은 그에게 맞지 않았다(어린 시절부터 시작된 군대의 공포는 나중에 40대에 입대함으로써 절정을 이루게 된다). 그나마 시를 쓰기 시작하면서 생의 의욕을 느꼈다.
1890년 육군 유년학교를 마친 뒤에 메리슈-바이스키르헨 육군 고등실업학교로 진학하지만 결국 병 때문에 그만둔다. 이어서 3년 과정의 상과학교에 들어가지만 역시 포기한다. 나중에 프라하 대학과 뮌헨 대학, 베를린 대학에서 예술사, 문학사, 철학, 법학 등을 공부했다. 릴케의 학창시절은 시인의 길을 가는 데 별로 도움을 주지 못했지만 대학에서 닦은 인문학적인 소양은 훌륭한 산문을 쓰는 밑거름이 된다. | |
창조적 직관의 힘으로 완숙기엔 '사물시'의 진풍경 펼쳐
